WEB 어셈블리라고 불리는 WASM은 2015년이라는 비교적 최근에 나온 기술이다. 2017년에 발표되었고 지금까지 계속해서 개선되는 기술이다. 주로 C/ C++ / RUST와 같은 LOW 레벨 랭귀지 즉 속도가 좋은 강한 타입의 랭귀지를 웹에서 쓰고자 만든 기술인데 주로 엠스크립튼이라는 소스 -> 소스 컴파일러 기술을 사용한다. cpp파일을 만든다고 가정했을때 index.wasm, index.js, index.html 즉 3개의 파일이 결과물로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js는 html과 wasm을 이어주기 위한 일종의 글루 코드이다. 왜 wasm이 일반적인 js보다 빠르게 작동한다는 것일까? 그것은 wasm이 작동하는 방식에 있다. 위의 두개의 이미지를 보면 첫번째 이미지인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그 처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