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33

[SpringBoot] 서버 정지 시 Build cancelled while executing task 에러

가끔 스프링부트를 사용할때, 서버를 켰다가 다시 정지시켰을때 위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Exception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코드에도 문제가 없고, 다른 여타 문제점들도 없는데 서버를 정지시킨다고 해서 빨간 문구가 잔뜩 뜨는게 좀 성가실 수 있다. 원인은 환경문제이다. gradle로 실행하게 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인데 해결법은 아주 간단하다. 윈도우의 경우 File -> Setting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밑에 보면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곳이 보일 것이다. 바로 여기가 Gradle로 되어 있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니 intelliJ가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설정을 바꾸어주자. 적용하고 나서 서버를 돌려도 또 똑같이 서버를 정지시키면 같은 에러가 ..

[SpringBoot] @RequiredArgsConstructor 는 정말 생성자 코드를 만들어낼까?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기본편강의를 보면서 lombok을 쓰면서 @RequiredArgsConstructor 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설명상으로는 필드에 final을 지정하면, 반드시 값을 지정해줘야 하니까. @RequiredArgsConstructor 라는 어노테이션이 알아서 값이 지정되야만 하는 것들을 위해서 생성자를 만들어낸다고 말씀하셨다. 과연 그럴까? (이런 의문이 든 이유는 신기해서이다... 어떻게 코드를 집어넣을 수 있는거지? ) 코드상으로 실제로 생성자가 있는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직접 확인해보고 싶어서 .class 파일을 디컴파일 해보았다. 디컴파일러로는 jd-gui가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 같아서 다운받아서 사용했다. (그냥 검색하면 다운받는 곳이 주르르 나온다...

[Intellij] Intellij 윈도우 단축키 모음

Ctrl + D : 라인 복사 Ctrl + Y : 줄 삭제 // Ctrl + Backspace Ctrl + X : 잘라내기, 라인 삭제할때도 자주 쓴다. Ctrl + Z : 되돌리기 Ctrl + Shift + Z : 되돌리기 취소 Ctrl + Alt + 위, 아래 : 현재 선택한 라인이동 Ctrl + Alt + T : 현재 선택된 코드를 특정 코드로 감싸줌(try, {} 이런 블록단위) Alt + 위, 아래 : 블록 단위로 커서 이동 Ctrl + Home, End : 파일 가장 위, 아래로 이동 Ctrl + Shift + R, Ctrl + R : 모든 파일 내에서 바꿈, 현재 파일 내에서 바꿈 Ctrl + Shift + F : 파일내에서 검색 Ctrl + Shift + Backspace : 가장 최근에 ..

개발툴 2021.07.20

[BOJ] 백준 9094 - 수학적 호기심 - Java

오랜만에 시간이 남아서 백준 9094문제를 풀어보았다. 티어도 브론즈로 낮아서 쉽게 풀 수 있었는데, 왜인지 속도가 너무 느렸다. 그래서 계속해서 코드를 바꿔보면서 시도했는데도 코드가 너무 느려서 처음에는 반목문안에 있는 sysout 출력문이 문제라고 생각해서 StringBuilder에 결과를 모두 append 해준 다음에 반복문 밖에서 출력해주는 걸로도 바꾸었는데 소용이 없었다. 그러다가 if문 안에 있는 Math.pow(j, 2) 를 j * j 로 바꾸었더니... 결과는 위에 표를 보면 알겠지만., 1556에서 372까지 속도가 줄어들었다. 이제부터는 Math.pow 를 통해 제곱하지 말고 j*j를 통해 그냥 제곱해주자. Math.pow는 반복문안에서 함수를 계속 호출하는 셈이었으니 속도가 느릴 수 ..

[Unreal] 언리얼 엔진5 드디어 공개!

https://www.unrealengine.com/ko/blog/a-first-look-at-unreal-engine-5 언리얼 엔진 5 최초 공개 새롭게 향상된 리얼타임 렌더링 기능들을 미리 만나보세요. www.unrealengine.com 얼마전에 언리얼5가 연말에 나온다고 했는데, 그 블로그의 글을 본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언리얼엔진5가 공개되었다. 예상보다 빨리 공개된 것 같다. 공개된영상이 (사막 영상) 예전에도 데모 영상 비슷하게 공개된 영상이었는데 이 외에 다른 영상들도 봤는데 확실히 그래픽이 훨씬 좋아진것 같다. 몇 가지 기술들도 소개되었다. 공개 영상에서 영어로 정황하게 설명해서 정확히 어떤 방식인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나나이트라는 기술과 함께 루멘이라는 기술이 핵심인 것으로 알고 있..

Unreal Engine 2021.07.18

[SpringBoot] 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00]

김영한님의 스프링입문 강좌를 보면서 공부하던 중 오류가 발생했다. h2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스프링부트에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00] 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오류가 발생했다. (회원목록을 좀 확인하려고 했는데 Whitelabel Error Page가 발생하면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스프링부트 2.4부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커넥션을 추가할때 spring.datasource.username=sa 를 반드시 추가해줘야 한다. (아 참고로 sa는 내가 사용하는 username이다. username을 달리 적었다면 본인껄 ..

[SpringBoot] springboot 기본 세팅부터 빌드까지 요약

빌드할때는 우선 intellij에서 돌리던 서버는 꺼주고 이후에 스프링부트 해당 폴더로 가서 (cmd로 가면 된다.) start.spring.io에서 얻은 zip파일을 해체한 곳으로 가면 된다는 소리다. 맥이나 리눅스의 경우 ./gradlew build 라고 치면 된다. 윈도우는 그냥 gradlew.bat build라고 치면 된다. 그러면 build 폴더 안에 libs라는 폴더가 생기게 된다. 그 폴더안에 들어가면 이제 jar파일이 만들어져있다. 그걸 이제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이런 식으로 써줘서 실행시키면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잘 안되면 ./gradlew clean build라고 치면 된다. clean 하고 다시 하는거다.

[BOJ] 백준 5555 - 반지 - Java 풀이

괜히 char배열로 받아서 하나씩 비교하다가 빙빙 돌고서야 제대로된 해답을 찾았다. 원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굳이 인덱스로 원형으로 따지기 보다는 그냥 output을 하나 더 더해서 원형처럼 효과를 내주는 것이 좋다는 것을 뒤늦에 알았다. 쉽게 말하면 그냥 하나의 String에서 검사해야한다면 그걸 원형으로 돌기 위해서 인덱스를 가지고 연산하는 둥의 고생을 하지 말고 그냥 String 복사본을 뒤에 붙여주는거다. "Hello" + "Hello" = "HelloHello" 가 되는거다. 여기서 돌면 원형으로 도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게 더 간결하다. 그리고 난 뒤에 contains를 이용해서 해당 키워드가 받은 문자열에 존재하는지만 확인하면 되는거다. import java.io.Buffer..

RadixSort(기수정렬) 에서는 왜 낮은 자리수부터 비교해야 하는걸까

제목과 동일한 질문을 교수님께 여쭤본 적이 있다. 답변은 아주 간단했는데, " MSD부터 정렬하게 되면 정렬이 되지 않습니다. " 였다. 사실 직접 해봤어야 했는데, 그 간단한 과정을 해보지 않고 질문을 해서 지금 생각해보니 조금 멍청한 질문이 아니었나 생각이 든다. 질문할 당시에는 왜 굳이 낮은 자리수부터 비교해야하는가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낮은 자리수부터 비교한다면 A, B가 있다고 가정할때 A의 MSD가 B의 MSD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낮은 자리수부터 비교하면서 자리수를 거슬러 올라가는 과정에서는 그 사실을 알지 못함으로 A가 B보다 큼에도 계속해서 낮은 자리수를 비교함으로써 그것이 낭비라고 생각했다. 반면에 MSD부터 비교한다면 처음 비교할때부터 이미 A가 B보다 큼이 기정사실이 되어버리니 그 밑의..

[C] void main(), int main(), main() 차이점

세 형태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사실은 별 차이 없다고 한다.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함수 정의 앞에 붙은 데이터 형은 함수의 리턴값의 데이터 형이고 int main()이면 main()함수가 종료할때 정수형 값을 리턴하겠다는 뜻이다. void main() 이면 함수가 종료할때 아무 값도 리턴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냥 main()은 void main()과 같다고 한다. main() 함수는 프로그램의 엔트리 포인트이고 운영체제가 실행시켜주는 함수라고 한다. 그래서 main() 함수의 리턴값은 운영체제가 받아보게 된다고 한다.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이 종료할때 main() 함수의 리턴값을 받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왜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고 한다. 보통 main()이 0을 리턴하..

C & C++/C 2021.07.03

[Linux] 우분투에서 비어있지 않은 폴더 삭제하기 - Directory not empty

폴더를 삭제하려고 하는데 Directory not empty 가 발생했다. 지우려는 폴더 안에 뭔가 여러개가 들어있단 소리다. 폴더든 파일이든 뭐가 있다는 소리다. 안이 비지 않아서 삭제 못한다고 하는데 이럴때는 sudo rm -r [폴더이름] 이렇게 작성해주면 삭제할 수 있다. (참고로 -r 의 r은 recursive의 의미이다. 깊게 돌면서 들어가서 다 지워나가겠다는 거다. 아마 실제 구현도 디렉토리 트리 구조 내에서 recursive한 방식으로 순회하면서 뒤로 돌아나오면서 삭제하지 않을까 싶다. 어떻게 구현된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 실제 그렇게 구현해도 아무 문제 없이 동작할거다.) https://noosphere.tistory.com/90 [linux]비어있지 않은 폴더 지우는 방법 에러 rmdi..

Linux 2021.06.27

[Python3] window10 Ubuntu에서 Miniconda3 설치하기 - 파이썬 가상환경 구축

https://ychae-leah.tistory.com/78 [ubuntu] 윈도우10 에서 우분투 설치 및 윈도우 폴더 접근하기 1) 윈도우 제어판 설정 바꾸기 제어판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체크 -> 재부팅 2) MicrosoftStore에서 Ubuntu 설치하기 우분투 설치 경로 C:\User.. ychae-leah.tistory.com 위 블로그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 감사합니다. 1시간 삽질하다가 발견했다. cd /mnt 이 명령어 하나를 몰라서 너무 헤맸다. cd /mnt 를 하게 되면 윈도우10에 설치한 우분투 커널을 통해서도 윈도우 10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다. https://docs.conda.io/en/l..

알고리즘 스터디

Recursive Call Algorithm (재귀 함수)Permalink Maximum value or Minimum value (최대값 또는 최소값 찾기) : 가장 큰 숫자를 기억해가며 진행함 Euclid (유클리드 알고리즘) : 두 정수의 최대공약수(GCD)를 빠르게 구하기 Factorial (팩토리얼) Fibonacci (피보나찌 수열) Sum (합계) Sorting Algorithm (정렬 알고리즘)Permalink Selection Sort (선택 정렬) https://www.daleseo.com/sort-selection/ Bubble Sort (버블 정렬) https://www.daleseo.com/sort-bubble/ Quick Sort (퀵 정렬) https://www.daleseo...

[Python3] Python3와 PyPy3 차이

PyPy3는 자주 쓰이는 코드를 캐싱함. 간단한 코드 상에서는 Python3가 메모리, 속도 측면에서 우세 복잡한 코드(반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PyPy3가 우세하다. 이 상황에 맞추어서 잘 써야 한다. 아래 블로그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ralp0217.tistory.com/entry/Python3-%EC%99%80-PyPy3-%EC%B0%A8%EC%9D%B4 Python3 와 PyPy3 차이 Python3 와 PyPy3 차이 평소에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Python을 지원하는 언어를 선택할 때, Python3와 PyPy3가 대표적으로 있었다. 원래 알던 개념은 PyPy3가 Python3의 실행시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ralp0217.tistory.com

Python3 2021.06.22

[SpringBoot] Th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 cannot be resolved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던 도중에 에러를 만났다. @Runwith(SpringRunner.class)는 pom.xml에 dependency를 추가해주니 바로 해결됬지만. (이건 검색하면 바로 뜬다.) 어째 @SpringBootTest는 에러가 사라지지 않았다. (검색한 내용들도 별로 도움도 안됬다.) Th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 cannot be resolved 라고 출력되고 빨간줄이 갔는데, build path에서 junit을 새로 라이브러리 추가해줘도 소용없었고, clean, refresh도 소용없었다. (이건 사실 매번해도 소용없는거긴하지만 약간 기도같은 느낌... ㅋㅋ ) 아무튼 dependency만 추가해주는걸 찾아봤는데, 별 소용없었다. 그러다가 이 글..

[SpringBoot]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Transaction not active

JPA를 사용중에 이런 에러를 마주할 수 있다. persistence.xml에서 가 문제라고 추정해서 value를 create로 바꿔보기도 했는데 역시나 소용없었다. 잘 보면 JPAClient라는 내 39번째 코드에 commit()을 사용한 코드가 있는데, 그 코드가 문제가 발생한거다. 근데 왜 문제가 발생했냐면 Transaction not active.... 라고 한다. 왜 트랜잭션이 시작이 안됬다고 할까? 나는 분명 위에서 tx.begin()이라는 코드를 통해서 실행을 시켰는데?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무엇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코드 상에서 tx.begin()을 한번 했고 이후에 tx.commit() tx.commit() 즉 두번을 해줬다. 이게 문제가 될 수 있을까? 그래서 tx.commit()두..

[SpringBoot] *.jar 파일이 인식안될때

jar파일 자체가 인식이 안될때가 있다. cmd에서 직접 폴더로 찾아가서 명령어로 압축해체를 할려고 했는데, 그마저도 안되더라. (왠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안됨... ) 그래서 알집을 깔았다. 인식안되면 알집깔자... 알집설치해서 알집으로 진행하면 문제없이 잘된다. https://eating-coding.tistory.com/69 jar 파일 알집으로 실행되는 문제 해결을 해보자 jar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연결 프로그램이 Java Platform SE binary인 상태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jar 파일이 알집으로 되어있으신 분들은 알집의 환경설정에 있는 파일 연결에 연결할 확장 eating-coding.tistory.com

[SpringBoot] Failed to execute goal org.apache.maven.plugins:maven-surefire-plugin:2.18.1:test (default-test) on project

메이븐 install을 해주는데 계속 failure가 났다. 누구는 pom.xml을 run configuration에서 삭제해주래서 계속 해줬는데 소용이 없었다. 알고보니 pom.xml을 run configuration을 삭제하라는 것은 아예 failure가 났을 때가 아니라 warning 때문에 해주는 조치이기 때문에 거의 상관이 없는 조치였다. 사실 그 warning도 무시해도 된다는 글들이 몇개 있었다. 아무튼 그래서 build failure가 왜 났는지 밑에 로그를 좀 보니 Failed to execute goal org.apache.maven.plugins:maven-surefire-plugin:2.18.1:test (default-test) on project 라고 되어있었다. 검색해보니 아주..

[SpringBoot] Type mismatch: cannot convert from ArrayList to List

리스트에 arraylist를 할당하는 코드를 작성중이었는데, 갑자기 arraylist가 할당이 안된다고 빨간줄이 가버렸다. 분명 arraylist는 list에 들어갈 수 있는 타입인데 왜? 라고 해서 검색을 좀 해봤다. 어딘가 이상한게 있을거라고는 생각했다. arraylist가 list에 못들어가는건데 내가 착각했을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왜냐면 늘상 써오던거라 아닐 리가 없었다. 그래서 보니 import를 잘못해준거였다. import com.sun.tools.javac.util.List; 이걸 써줘버린 거였다. 그러니 에러가 난거다. 그래서 import java.util.List; 이걸로 바꿔주었다. 가끔씩 이런 문제가 생길땐 import있는곳을 좀 살펴봐야겠다. ctrl shift o 를 눌러서 i..

[SpringBoot] 테스트결과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모킹과 목업에 대해 공부하던 중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게 되었는데, ctrl + shift+ o 를 눌러서 import를 해주는데 다음과 같은 창이 떴다. 그냥 Test가 있고, api.Test가 있다. 사실 저 두개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몰라서 그냥 Test를 import해주었다. 그런데 테스트의 결과가 출력되지 않았다. 그냥 콘솔창에 아무것도 뜨지 않았다. 한참을 뒤적거린 뒤에야 api.Test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걸 사용했을 경우에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ringBoot] maven filter 안뜰때

왜 항상 maven은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 사람을 당황하게 만들까.... maven에서 filter가 안떠서 뭐지? 싶은 상황이 있는데, 좀 기다리면 된다. 가끔 이렇게 느리게 적용되서 지금 뭔가 잘못된건가 싶은 상황이 여러번 있었는데, 다른 탭에서는 이런 경우가 없었는데, maven관련해서 이것저것 만질때만 항상 이러는 것 같다. 왜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maven관련해서 무언가를 살필때, 안뜨는 것 같으면 그냥 좀 기다려보면 뜬다. ㅋㅋ 기다리면 뜬다....

반응형